JH's All About

2011 FA 커뮤니티실드에서 맨체스터 Utd.가 맨체스터 시티를 3:2로 역전승을 거두며 극적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맨유는 전반전에 불만족스러운 경기운영으로 2점을 먼저 내주며 불안했지만, 후반전에 힘을 내며 스몰링과 나니의 2골로 역전승을 거두었다.
전반전에 데헤아의 플레이는 조금 아쉬웠다. 특히 중거리슛 골은 조금 반응이 느리지 않았나 생각된다.
하지만 후반전 데헤아는 슈퍼세이브들을 많이 보여주었다.
그리고 나니의 동점골이 예술이었다. 멋진 패스에 이은 슛은 정말 보는이들을 짜릿하게 만들었다.
이로써 이번 맨체스터 더비는 맨체스터 Utd.의 승리로 끝이 났다.
Posted by BlogBall Comment 0

댓글을 달아 주세요

2011 U-20 세계청소년축구대회 2대회연속 16강의 쾌거를 이룬 우리 태극낭자들!!!
하지만 작자는 왜 16강에 올라가도 큰 기쁨이 없는 것일까?? (나만그런가...)
8/6 콜롬비아 전을 보면서 조직력을 중점으로 둔 팀의 장점은 하나도 나오지 않았다.
그래도 일단 16강에 진출했으니 3-4일 안에 우리나라의 문제점을 최소화 시켜야 한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문제점은 어느 것이 있을까?
1. 패스성공률
전반전 패스성공률 48%....... 뭐 이건 공격지역 패스성공률 보다 낮은 것 같은 수치였다.
이정도까지는 바라지도 않지만 바르셀로나는 경기평균 패스성공률이 86~94%사이이다. 
그렇다면 조직력축구를 모토로 나온 우리나라는 적어도 80%이상은 패스성공률이 나와야 하지 않았을까??
2. 미드필더 장악
프랑스전이나 콜롬비아전이나 우리나라는 수비에서 공격으로 바로 이어주는 롱패스를 많이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롱패스는 정확하지도 않았고, 고산지대라서 낙하지점도 제대로 찾지 못하고, 장신의 수비수들을 이겨내는 공격수들이 별로 없었다.
그 때 만약 미드필더를 장악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콜롬비아전을 보는 90분 내내 한국의 미드필더들은 공격할 때 너무 높게 올라가 있었다.
미드필더들이 수비쪽으로 내려와 주면서 패스위주로 천천히 공격쪽으로 올라갔으면 더 공격효과가 높았을 것이다. 결국 미드필더들이 올라가면서 수비들은 미드필더들에게 패스를 하면 패스가 끊기고, 결국 롱패스밖에 길이 없었을 것이다.
3. 수비~공격 사이의 간격
조직력을 가지고 패스위주의 팀들의 특징이 있다. 바로 경기장을 좁게 쓰는 것. 예로들자면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 맨유와 바르셀로나 경기에서 양팀은 상극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맨유는 경기장을 최대한 넓혀 바르셀로나의 패스 길이를 길게 만들어 패스를 차단하려는 전략을 가지고 나왔고, 바르셀로나는 경기장을 최대한 좁혀 맨유가 중앙위주의 공격을 하게 만들어 크로스를 못올리게 하는 바르셀로나의 단점인 신장문제를 최소화 시키려는 것이었다. 그 결과 맨유는 바르셀로나에게 말려들었고, 바르셀로나가 승리하게되었다.
그런데 특히 이번 대회에서 한국 선수들은 측면 돌파가 잘 통하지 않고있다. 그리고 공격에서 신장우위도 없기 때문에 간격을 좁혀 패스 위주로 가는 것이 더 효율적이었을지도 모른다.( 뭐, 그 방법도 조직력이 뛰어나야하지만...... )
그리고 간격을 좁히면 아까 말했듯이 패스 거리가 짧아져서 패스성공율이 상승하고 수비와 미드필더 공격간의 간격이 작아져서 롱패스가 많이 나오지 않는다. (하지만, 수비들도 간격이 좁아져서 조직력을 극대화시켜야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개인기보다 조직력으로 나온 이번 대표팀에게는 경기장을 좁게 쓰는 것이 낫지 않을까 생각한다.
4.골키퍼
이건 그렇게 큰 문제는 아니지만 좀 생각은 해봐야 한다. 1,2차전선발로 나온 양한빈선수는 1차전에서 깔끔했지만 2차전 볼처리와 낙하지점찾기에서 미숙한 점을 보여 3차전에서는 노동건 선수가 수문장으로 나섰다. 하지만 노동건선수도 잘 막다가 1번의 판단 미스로 결승골을 내주는 실수를 하였다. 하지만 16강전 부터는 두 골키퍼들이 열심히 노력하여 잘 막아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요즘 경기력이 좋지않은 대표팀에게 많은 질타들이 날아오고 있다. 하지만 이 대회의 취지는 우승보다는 어린 선수들이 더 큰 무대로 나갈 수 있도록 경험을 쌓는 대회이기때문에 대표팀에게 격려가 필요할 것 같다. 
Posted by BlogBall Comment 0

댓글을 달아 주세요